위례에듀

5개 대학 공동연구 [자연계열 전공 학문 분야의 교과 이수 권장과목 안내]

글로리컨설팅 2023. 6. 6. 14:35
반응형
 
5개 대학, 수학·과학 중심으로 핵심과목·권장과목 제시
경희대·고려대·성균관대·연세대·중앙대 공동연구 … <고등학생 교과이수 과목의 대입전형 반영 방안 연구: 자연계열 모집단위를 중심으로> 발표

지난 2월 경희대·고려대·성균관대·연세대·중앙대 5개 대학이 공동으로 연구한 <고등학생 교과이수 과목의 대입전형 반영 방안 연구 -자연계열 모집단위를 중심으로-> 보고서가 각 대학 홈페이지에 공개되었다. 이 연구는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 도입으로 학생의 과목 선택이 다양해짐에 따라 대학의 자연계열 전공과 연계해 학생이 고교 교육과정에서 이수해야 할 과목을 제시하고, 대입전형 평가에 활용하는 방안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보고서에는 수학·과학 교과 중심의 핵심과목과 권장과목이 제시되어 있다. 5개 대학의 「자연계열 전공 학문 분야의 교과 이수 권장과목 안내」와 관련한 주요 내용을 요약해봤다.

자료참조: 2022년 경희대·고려대·성균관대·연세대·중앙대 5개 대학 공동연구 <고등학생 교과이수 과목의 대입전형 반영 방안 연구 -자연계열 모집단위를 중심으로->(2023.2)

5개 대학 자연계열 전공 모집단위,

14개 학문 분야별로 수학·과학 과목 제시

5개 대학은 자연계 학문 특성상 학습단계(위계)가 비교적 뚜렷하다는 점을 고려해 각 대학 자연계열 모집단위를 대상으로 연구범위를 설정해 진행되었다.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광역모집단위 선발 대학을 제외한 4개 대학의 실제 ‘2022학년도 학생부종합전형 지원자’의 과목 이수 현황 분석, 5개 대학 자연계열 교수 412명과 고등학교 교사 476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학생부종합전형 평가 경험이 있는 학과별 위촉교수사정관 1인씩 총 132명을 대상으로 두 차례에 걸친 델파이조사, 교사 및 장학사, 다른 대학 입학사정관이 참여한 2회의 전문가 자문회의(FGI) 등을 바탕으로 결론을 도출했음을 밝혔다. 이를 바탕으로 5개 대학 자연계열 전공 모집단위를 수학/컴퓨터/기계/화학/의학/약학 등 중계열 14개 학문 분야별로 범주화해 수학·과학교과 과목을 중심으로 고등학교 교과 이수 권장 과목인 핵심과목과 권장과목을 제시했다. 참고로 핵심과목은 학과(부)에서 수학(修學)하기 위해 ‘필수’로 이수해야 하는 과목이며, 권장과목은 학과(부)에서 수학(修學)하기 위해 ‘가급적’ 이수를 권장하는 과목을 말한다.

수학, 미적분이 핵심과목인 학문 분야 많고

과학, 물리학·화학이 핵심과목인 학문 분야 많아

이 보고서에는 ‘대학 자연계열 전공 학문 분야별로 학생의 과목 이수 필요성, 과목 선호도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며 다음과 같이 밝혔다. 전반적으로 수학에서는 미적분이 핵심과목인 학문 분야가 많고 기하, 확률과 통계 과목 순으로 나타났다. 과학은 물리학과 화학이 핵심과목인 학문 분야가 많고 생명과학, 지구과학 과목 순임을 알 수 있다. 핵심과목과 권장과목을 통해 과목 선호도는 ‘표1’과 같다.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 우연철 소장은 “이 연구결과에 따르면 2022학년도 학생부종합전형 자연계열 지원자 및 합격자의 수학, 과학 과목 이수 현황에서 중계열 기준 ‘전기, 전자’관련 학과 지원자 및 합격자의 80% 이상이 미적분, 물리학I, 화학I, 물리학II를 이수했다”며 ‘표2’을 예시로 들었다.

표1. 핵심과목과 권장과목을 통해 본 과목 선호도

표2. 2022학년도 중계열 기준 ‘전기, 전자’ 관련 학과의 <학생부종합전형 지원자/합격자 수학, 과학 이수 과목 현황>

출처 : 경희대, KHU-Alliance(고교/시도교육청-대학 협력 네트워크) 워크숍(2023.01.26.)

교과 이수 과목 대입평가 반영, 긍정적 응답 다수

5개 대학, 2024학년도부터 학종 실제 평가에 활용

또 다른 쟁점 중 하나는 전문교과 포함 여부로, ‘전문교과Ⅰ과목을 포함할 경우 일반고에서 전문교과Ⅰ을 이수해야 하는 것으로 오해할 수 있다는 지적’이 많았다는 점이다.

특목고(과학고) 개설과목인 전문교과Ⅰ은 일반고에서 위계에 맞춰 개설하기 어렵고 과학Ⅰ, Ⅱ에 비해 성취기준의 난이도가 높아 학생이 충실히 이수하기 어렵거니와 이수할 학생도 많지 않다는 점, 일반고에서 필수적으로 개설해야 하는 과목이 아니라는 점 등을 고려할 때 이수 권장과목에 포함시키지 않아야 한다는 의견이 대다수였다. 실제 지원자 이수 현황 분석에서도 전문교과Ⅰ을 이수한 경우는 소수였다. 이에 따라 5개 대학 공동연구에서 발표한 이수 권장과목에는 전문교과Ⅰ을 제외한 일반고에서 주로 개설하는 보통교과의 일반선택 및 진로선택과목을 중심으로 제시했다.(표3)

학생의 교과 이수 과목을 대입평가에 반영하는 것에 모든 조사에서 긍정적인 응답이 주를 이뤘다.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는 응답이 델파이조사에서 98.5%, 교수 설문조사에서 핵심권장과목 4.6점(96.1%), 권장과목 4.3점(89.8%), 고교 교사 설문조사에서도 핵심권장과목 92.6%, 권장과목 87.6%로 매우 높았다. 대학 교수 대상 설문조사에서 자연계열 전공 모집단위의 대입전형 반영 필요성이 가장 높은 교과로 수학·과학 교과로 나타났고, 영어교과도 여전히 중요한 것으로 인식했다. 이번 연구 결과에서 ‘공동연구에 참여한 경희대․고려대․성균관대․연세대․중앙대 5개 대학이 2024학년도부터 학생부종합전형의 실제 평가에 활용할 수 있다’고 명시했다. 이번 연구 보고서를 통해 밝힌 ‘대학 자연계열 전공 학문 분야의 교과 이수 권장과목 안내’는 과목 선택과 진로 선택에 있어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표3. 대학 자연계열 전공 학문 분야별 교과 이수 권장과목 안내

*핵심과목 : 학과(부)에서 수학(修學)하기 위해 ‘필수’로 이수해야 하는 과목

*권장과목 : 학과(부)에서 수학(修學)하기 위해 ‘가급적’이수를 권장하는 과목

*출처 : 2022년 경희대·고려대·성균관대·연세대·중앙대 5개 대학 공동연구 <고등학생 교과이수 과목의 대입전형 반영 방안 연구 -자연계열 모집단위를 중심으로-> p.163~167

​https://cafe.naver.com/we2y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