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례에듀

6모평후, 수시/정시/N수에따른 대응방법

글로리컨설팅 2023. 6. 4. 13:59
반응형

현역들은 정시로 방향을 잡은 친구 외에는

1. 기말에 최선 다하기

- 교과든 학종이든 마지막 기말에 최선을 다하기 바랍니다.

- 중간고사 성적을 보고 등급 올릴 수 있는 과목 > 진로 과목 > 국영수 > 성취도 과목 순으로 공부하기 바랍니다.

2. 기말 후 학종러는 생기부에 진심을 담아 끝까지 최선을 다해야 합니다.

 

3. 기말 후, 학종 최저있는 친구, 교과러는 그동안 본 3. 4. 6. 7모고 분석을 통해 수능까지의 공부 방향을 정해야 합니다.

- 몰라서 틀린 문제

- 어떤 때는 맞고 어떤 때는 틀리는 문제

- 실수로 틀리는 문제

를 과목별, 과목 안에서 파트별로 정리해서 객관적인 나의 실력을 확인하고 그에 밎는 학습 계획(문제집, 과목 배분 시간, 사교육 이용 여부 등)을 세워야 합니다.

- 4합 빼고는 버릴 과목 정하기

수능 최저를 맞추면 어떤 점이 좋을까요?

- 대학을 높일 수 있고 합격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 지원 대학과 학과, 전형도 넓어집니다.

- 단 3. 4. 6. 7. 9 모고 + 고3 공부양 + 기본 역량 및 고등 내신을 통해 객관적 등급을 예상하는 게 꼭 필요합니다.

- 대부분 주관적 등급을 예상하는데 이건 진짜 객관적으로 예상해야 합니다.

아주 드물게 넘 낮게 잡는 경우도 있습니다.

n수생, 현역 정시러

1. 최최상위 외에는 무조건 논술을 염두에 두는 게 좋고 맞습니다.

- 이과는 수학 실력이 관건(내신 기준 말고 모고 기준)

- 문과는 사과와 인문 논술 구분(사과는 논술 실력도 중요 / 인문은 최저가 더 중요)

- 논술은 최저가 있는 논술은 첫 번째는 수능 최저, 두 번째가 논술 실력

- 논술 100%는 당연히 논술이 가장 중요(자신의.장점과 선호하는 문제 유형을 고려하여 지원하는 게 꼭 필요)

2. 정시는 다섯 과목 모두 잘 보는 게 중요

- 버릴 수 있는 과목이 없다.

- 한 과목만 망해도 대학이 2단계 3단계 떨어짐

- 수학을 정말 못 하고 점수가 안 나온다면 비실기 예체능 고려하기를 바랍니다.

- 현역은 과탐 신경쓰기

- 문제집 선택 매우 중요

대입은 이제부터가 찐입니다.

끝까지 완주 가능 여부가 합격을 좌우합니다.

끝까지 파이팅 하기 바랍니다!!

 

https://cafe.naver.com/we2you/ 

 

위례에듀, 위례지역 중고교 입결, 대... : 네이버 카페

위례, 송파, 성남, 하남지역 초 중 고 및 고입/대입 교육정보 및 진학정보 소통을 위한카페, 학부모소통방

cafe.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