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례에듀

서울시립대 수시등급 및 전략 분석 (2023학년도 서울시립대 내신, 서울시립대학교 수시등급)

글로리컨설팅 2023. 6. 21. 10:35
반응형

서울시립대 수시등급 및 전략 분석 (2023학년도 서울시립대 내신, 서울시립대학교 수시등급)

안녕하세요. 오늘 입결을 살펴볼 대학은 서울시립대입니다. 서울시립대는 매년 일반고/특목 자사고 학교 유형에 따른 입결을 따로 공개하기 때문에 입결을 볼때 의미가 있는 대학입니다.

2023학년도 작년 입결을 아래와 같이 4개의 PDF 파일로 나누어 공개를 했는데요. pdf 원본을 보실 분들은 아래 파일을 받아서 보시면 될 거 같습니다.

2023학년도_서울시립대_고교유형별 성적 현황(학생부종합위주).pdf
0.10MB

 

  

2023학년도_서울시립대_성적 현황(학생부종합위주).pdf
0.09MB

 

2023학년도_서울시립대_전형유형별 출신지역별 최종등록자 현황.pdf
0.09MB

 

2023학년도_서울시립대_최종등록자 성적 현황(논술전형_ 지역균형선발전형).pdf
0.07MB

 

 

이 자료들의 세부 내용들을 함께 살펴보고, 올해의 지원 전략을 함께 고민해보시죠. 시작합니다.

1. 2023학년도 서울시립대 지역균형전형(학추교과) 수시등급은 아래와 같습니다.

- 서울시립대는 최근 몇년간 교과전형에서 3합7(탐1) 의 수능최저를 설정해왔고, 올해도 똑같이 적용을 했습니다.

최근 주요 대학들이 수능최저를 완화하고 있는 추세이기 때문에 (예컨대 중앙대 학추교과의 경우 영어2등급도 1등급과 동일하게 취급하는 방식이 도입되어 사실상 3합8,탐1로 완화된 효과이며, 홍익대 교과도 3합7에서 3합8,탐1로 완화 등)

그대로 3합7(탐1) 의 수능최저를 유지하는 서울시립대 학추교과만의 포지션을 가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내신 1점후~2점초의 학생 중에서 3합7,탐1 최저를 맞출 수도 있는 학생은 합격을 장담할 수는 없겠지만 중경외시이 라인 중 하나인 시립대를 교과로 베팅해 볼 수 있는 구간에 있다고 생각을 하면 될 거 같습니다.

 

- 위의 내용은 시립대 입학처 홈페이지에 공개된 2023학년도 작년 입결인데요. 대학어디가에 공개된 50컷과 70컷을 비교해서 보시면서 전략을 세워보는게 필요합니다.

대학어디가에 나온 숫자가 맞냐, 이게 맞냐, 어느게 더 정확하냐 숫자 하나하나 자체에 의미를 두기 보다는 대략적인 경향과 학과별 특징적인 수치를 나타내는 곳들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이 좋을 거 같습니다.

시립대 교과전형은 교과100이기 때문에 전공적합성 등을 따질 필요 없이 내신만으로 어느 학과든 지원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최대한 활용을 해야한다는 생각이 듭니다.

- 또한 시립대 교과전형의 경우 3~5명 정도로 매우 적은 인원을 모집하는 전공들이 많은데, 이는 상황에 따라 언제든지 컷이 출렁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저 컷의 숫자보다 높다고 무조건 안정이라고 생각하고 지원하기 보다는, 다른 5장 수시카드들의 구성에 따라 시립대 교과를 한 장 쓸지 말지 고민을 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거 같습니다.

2. 2023학년도 서울시립대 학생부종합전형 수시등급은 아래와 같습니다.

- 학종에서는 일반고와 특목고 자사고가 섞여 있기 때문에, 단편적으로 학종 입결을 보기 보다는 고교유형별 입결 수치와 비교하여 보는 것이 중요할 거 같습니다.

먼저 고교유형 구분 없이 학종 입결을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대부분의 모집단위에서 2점대, 3점대, 4점대 내신으로 평균 등급이 형성이 되어 있습니다. 이 내용을 보고

중경외'시'이 라인의 시립대가 3등급 4등급의 내신으로 합격할 수 있나? 생기부가 좋으면 내신이 나빠도 잘 뽑아주는 것인가?

라고 생각해서는 안될 거 같습니다.

고교 유형별로 나누어진 자료를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사회통합 전형 등 특별전형 제외하고 일반전형 위주로 보겠습니다.)

문과의 경우는 대부분 2점대 초중반 정도의 내신이고 자사고 특목고는 3~5등급까지 평균 등급 숫자가 찍혔습니다.

이과의 경우는 특목고가 5~6등급이 찍혔는데, 과학고라고 생각을 하면 될 거 같습니다.

결국 일반적인 일반고 기준으로 봤을 때 1점후~2점초의 학생들이 기본적으로 적정이고, 2점초중반정도 되는 학생들이 다른 더 높고 낮은 다른 대학과 섞어서 6장 지원 카드를 구성하는 것 정도가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이 됩니다.

 

이렇게 쭉 놓고 보면, 시립대는 비슷한 라인의 다른 대학들 (중앙대, 경희대 등) 보다 학교 규모가 작고 모집인원이 많지 않기 때문에 살짝 부담이 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하지만 시립대에만 있는 학과들이 있고, 또 등록금 측면에서 메리트가 있기 때문에 이 부분에 가치를 두는 학생들은 지원을 고민해 볼 수 있을 거 같습니다.

 

원문 : https://m.blog.naver.com/ssonch16/223134551789

위례교육카페, 위례에듀카페

https://cafe.naver.com/we2you/ 

 

위례에듀, 위례지역 중고교 입결, 대... : 네이버 카페

위례, 송파, 성남, 하남지역 초 중 고 및 고입/대입 교육정보 및 진학정보 소통을 위한카페, 학부모소통방

cafe.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