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례에듀

연세대 수시등급 및 전략 분석(2023년 내신, 수시등급)

글로리컨설팅 2023. 8. 7. 15:45
반응형

연세대 수시등급 및 전략 분석 (2023학년도 연세대 내신, 연세대학교 수시등급)

며칠 전 연세대 입학처에서 영상을 통해 2023학년도 입결을 공개했습니다. 2023학년도는 2022학년도와 비교해 전형에 큰 변화가 없었기 때문에 (추천형의 경우 교과100+제시문 면접, 활동우수형과 국제형은 제시문 면접과 최저있는 학종, 각 전형 중 1개만 쓸 수 있음 등)

전체적인 입결의 변화는 직전해의 입결과 경쟁율의 영향을 받아 나타난 결과로 해석해도 무방할거 같습니다. (물론 고려대 학추의 최저 완화 등 세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도 당연히 있겠으나)

다만 올해 2024학년도는 국제형 중복지원이 가능하게 되었고, 고려대 최저 완화(학추, 학우 전부다) 가 좀 더 크게 일어났기 때문에 이를 감안하여서 2023학년도 입결을 볼 필요는 있을 거 같습니다.

이전 2022학년도의 내용은 아래를 참고해 주시면 될거 같습니다.

https://kimexp.tistory.com/917

그리고 입결 발표의 원본 영상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https://youtu.be/9xSwhqVyIN0

 

 

 

그럼 이제 세부적인 내용을 살펴볼텐데, 제가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보도록 하겠습니다. 시작합니다.

1. 연세대가 공개한 2023학년도 작년의 모집단위 별, 계열별 대략적인 연세대 수시 등급은 아래와 같습니다.

- 연세대학교에서 공개한 입결은 박스플롯(Box Plot) 그래프 형태로 공개를 하는데, 작년에는 박스플롯 보는 법을 영상에서 이미지로 같이 소개를 해 주었는데 올해는 직접 말로만 설명을 하셔서 작년 자료를 그대로 가져와 간단하게 안내를 드리겠습니다.

그래프에서 각각이 나타내는 정보가 위 그림과 같다는 것을 감안하시고 봐 주시면 될 거 같습니다.

1) 연세대 추천형 수시등급

참고로 말씀드리면, 영상에서도 설명하고 있지만 그래프는 지원/최초합격/총합격으로 나누어져 있는데요.

지원은 합불 여부 상관없이 지원한 학생들의 수시등급 (합격자 불합격자 섞여 있겠죠.)

최초합격은 말 그대로 최초합 한 학생의 등급 정보이구요.

총합격은 한번이라도 최초합이든 추합이든 합격한 학생들 전체를 대상으로 등급을 낸 것입니다. 이 학생들 중에는 연세대 등록한 학생도 있고 다른 대학으로 빠져나가서 등록 안한 학생도 있을텐데 다 포함한 것입니다.

지원/최초합/총합격 모두 문과 모집단위에서 내신 분포가 넓고 자연 모집단위에서 상대적으로 좁은 것을 볼 수 있구요. 그리고 문과 내에서는 인문 모집단위에서 내신 분포가 특히 넓은 것을 볼 수 있는데, 문과대학에 상대적으로 낮은 어문계열이 포함되어서 그런 것도 있지만 신과대학이 포함되어 있어서 더 그렇게 보일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해야 할 거 같습니다.

예년과 달리 올해는 공개한 이 입결에서 분류 기준 설명을 했는데요. 인문 분류가 (문과대학+신과대학+교육과학대학) 이라서 신과대학 포함이 크게 영향을 미쳤지 않았나 라는 생각이 듭니다. 자료에 적힌 입결의 분류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2) 연세대 활동우수형 수시등급

활동우수형은 학종이고, 추천형 교과전형이 일반고가 대부분인것과 달리 일반고+특목고+자사고가 다 섞여 있기 때문에 내신 평균이 더 높아지고 분포도 더 넓게 분포를 한다고 이해하시면 될 거 같습니다.

활동우수형은 수능최저가 있기 때문에 수능최저 충족률도 단과대별로 공개를 했는데요.

연세대 지원자 기준으로 그렇게 높은 기준은 아니다 보니 의치약 제외하면 대부분 높은 충족률을 보이고 있고, 고려대 학업우수형처럼 수능최저를 믿고 지르는 전형은 아니다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말은 최저는 아예 없다고 생각하고 나의 내신과 생기부, 그리고 우리학교의 상황 기준으로 할만하면 하는것이지 최저 때문에 선택지를 바꾸거나 할 정도의 상황은 아니라는 이야기입니다.

3) 연세대 국제형 수시등급

- 국제형만 따로 있다기 보다는 국제형과 특기자(국제인재) 가 같이 있는데, 전명명에 신경쓰기 보다는 모집단위 기준으로 생각을 하시면 될거 같습니다.

국제형 = 하스+ISE

특기자 국제인재 = UD

라고 이해하면 쉬울 것 같습니다.

교과평균 등급 수치는 높게 보이지만 아무래도 국제형 특성상 외고/국제고 학생들이 많다 보니 그런 것이라고 이해를 하시면 될 거 같습니다.

ISE가 UD나 HASS 보다 등급이 높은 것도 이과 특성상 일반고 비중이 문과보다는 높아서 내신 절대 수치가 높게 보이는 것 뿐이지 어떤 모집단위라도 그냥 우리가 흔히 생각했을 때 연세대 입학 난이도와 크게 다르지 않다라고 이해를 하시면 될 거 같습니다.

국제형(HASS 와 ISE) 의 경우 수능최저 [2합5(탐1) + 영1] 의 수능최저가 나름 허들로 작용을 하고 있고, 영어 1등급을 못 받아서 떨어지는 변수가 항상 존재를 하지만 작년의 경우는 하스의 경우 충족자가 그 직전해보다 10% 정도 올라왔음을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이것은 수능 영어 난이도에 의해 영향을 받을 것이라, 지원자들이 예측할 수 있는 부분은 아니고 내가 연대 국제형 쓸 정도의 상황은 되고 수능이 쉽든 어렵든 영어 1등급 자신 있으면 일단 지원을 해 보는 것도 나쁘지는 않을 거 같습니다.

그리고 저 영상에서는 이야기하고 있지 않지만, 연세대 국제형의 경우 올해부터 추천형/활동우수형 중 하나와 중복 지원이 가능해졌습니다.

작년까지는 추천형/활동우수형/국제형 중 택1 이었는데 이제는 [추천형 or 활동우수형 중 택1 + 국제형]의 형태로 국제형을 추가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이 말은 1차 합격 배수를 2.5배수에서 3배수로 늘렸음에도 불구하고, 경쟁율 상승분이 더 커질 수도 있다는 이야기고 작년보다 1차 서류 합격이 가능할지를 좀더 보수적으로 고민해서 지원할 필요는 있어졌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리고 연세대 국제형을 고민하는 학생이라면 수시6장 구성의 후보군에 연고성서한중경외시이 정도를 놓을텐데, 수시는 6장 밖에 쓸수 없다는 것을 감안했을때 연세대 국제형을 어떤 포지션으로 놓을지가 중요할 거 같습니다. 연세대 국제형을 쓰지 말고 서성한중을 더 늘릴지 등등이 고민의 포인트가 되겠죠.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연세대 국제형의 경쟁율 상승이 생각보다 더 커지지 않을까 걱정을 하고 있긴 합니다. 전형을 매우 쓰고 싶게 만들어놔서...

여튼 그렇습니다. 영상에는 첨단융복합학과특별전형 (시스템반도체학과 및 디스플레이융합공학과) 내용도 있습니다만, 올해부터 이 전형이 폐지되고 일반전형에 모집인원이 녹아 들어가기에 여기에서는 따로 다루지는 않겠습니다.

다만 이 첨단학과 관련 부분은 기회가 되면 이를 바탕으로 일반 학종 기준에서 이 학과들을 어떻게 접근해야할지 별도의 분석글을 통해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출처 : https://blog.naver.com/ssonch16/223095456414

내신등급 1.0~1.75 수시전략: https://cafe.naver.com/we2you/2801
내신등급 1.75~2.5 수시전략, https://cafe.naver.com/we2you/2869
내신등급 2.5~3.5, ~5.0, ~7.0까지 수시전략, https://cafe.naver.com/we2you/2869

2023년수시전형 결과 및 2024 수시전형 예측 : https://cafe.naver.com/ArticleList.nhn?search.clubid=30956298&search.menuid=96&search.boardtype=L
2023년정시 입결데이터 분석 : https://cafe.naver.com/ArticleList.nhn?search.clubid=30956298&search.menuid=97&search.boardtype=L

2023년 추합높은 학과 리스트 : https://cafe.naver.com/ArticleList.nhn?search.clubid=30956298&search.menuid=102&search.boardtyp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