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례에듀

한국지리 기후통계자료, 인구통계자료 무료배포

글로리컨설팅 2023. 7. 14. 16:40
반응형

 

안녕하세요,

수능 지리 컨텐츠팀 TEAM Plume 소속 rainshadow(비그늘)입니다.

한국지리 / 세계지리의 통계를 보기 쉽게 정리한 자료를 공유해드리고자 합니다.

통계 자료를 사용하는 모든 단원에 대해 자료를 만들어 배포할 예정입니다.

첫 번째 자료는 한국지리 3단원 "기후 통계자료"였습니다.

[한지] 2. 행정구역별 인구증감 및 성비 통계.pdf
0.63MB

⬅ 기후 통계자료 보러 가기 )

두 번째 자료는 한국지리 4, 6단원에서 주로 사용되는 “인구 통계자료”입니다.

아래에는 첨부된 자료의 설명을 적어드리니, 첨부파일과 함께 읽어보시면 되겠습니다.

 

 

<자료 설명>

p. 1

- 메타 데이터입니다. 메타 데이터는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라는 뜻으로, 어떤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입니다. 메타인지와 비슷한 개념으로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메타 데이터에는 기본적인 정보와 범례를 적었습니다. 이 범례를 참고하여 자료를 읽으시면 되겠습니다.

pp. 2~9

- 전국의 시/도별, 시/군/구별 인구의 증감 현황을 나타낸 표입니다. 전국 모든 시/도, 시/군/구의 인구 증감을 한 눈에 볼 수 있어 매우 편리합니다.

- 권역 별로 정리하였으며, 효율적인 페이지 배분을 위해 광역시와 특별자치시는 영남권과 비영남권으로 나누고, 맨 뒤에 배치하였습니다.

- 1992년, 1995년부터 2020년까지 5년단위, 그리고 2022년의 인구 현황이 전부 표시되어 있습니다. 이전 통계자료에 비해 인구가 10,000명 이상 증가 / 감소했을 경우 각각 하늘색 / 분홍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50,000명 이상 증가 / 감소했을 경우 파란색 / 빨간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이는 범례에도 자세히 나와있습니다.

- 특이사항이 있는 시기별 인구통계에 대해서는 각주를 달아 부연설명을 하였습니다.

pp. 10~12

- 전국의 시/도별, 시/군/구별 총 인구 성비와 청장년층 인구 성비를 나타낸 표입니다. 전국 모든 시/도, 시/군/구의 성비 통계를 한 눈에 볼 수 있어 매우 편리합니다..

- 권역별로 정리하였으며, 표의 효율적인 배치를 위해 권역을 약간 조정하였습니다. <1. 수도권+강원권+제주권>, <2. 충청권+호남권>, <3. 영남권>으로 배분하여 표를 작성했습니다.

- 총 인구 성비와 청장년층 인구 성비 모두 자연수까지 반올림하여 나타냈습니다. 인구통계의 특성상 남녀가 정확히 동수인 경우가 없기 때문에 성비 100을 표현하지 못하며, 자연수가 중앙값이 되는 지표가 더 적절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 성비 95 이하는 짙은 노란색, 96~99는 옅은 노란색, 100은 하얀색, 101~104는 연한 초록색, 105 이상은 짙은 초록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이는 범례에도 자세히 나와있습니다.

p. 13

- 총 인구 성비와 청장년층 인구 성비의 값을 한 눈에 보기 쉽게 범례에 따라 백지도에 표시하였습니다. 전국, 서울, 부산 백지도에 모두 표시하였습니다. 서울과 부산의 경우 구별 특성을 통해 도시권역의 구조를 묻는 문제가 빈출되기 때문입니다.

p. 14

- 201개의 시/군/구 중 총 인구 성비 순위를 매긴 다음 상위 40위(1~40), 하위 40위(162~201)를 표시하였습니다. 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는 지역 명에 음영을 주어 표시하였습니다. 동일한 값은 동순위로 표시하였습니다.

p. 15

- 201개의 시/군/구 중 청장년층 인구 성비 순위를 매긴 다음 상위 40위(1~40), 하위 40위(162~201)를 표시하였습니다. 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는 지역 명에 음영을 주어 표시하였습니다. 동일한 값은 동순위로 표시하였습니다.

p. 16

- 201개의 시/군/구 중 "청장년층 인구 성비에서 총 인구 성비를 뺸 값"의 순위를 매긴 다음 상위 40위(1~40), 하위 40위(162~201)를 표시하였습니다. 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는 지역 명에 음영을 주어 표시하였습니다. 동일한 값은 동순위로 표시하였습니다.

- 청장년층 인구 성비에서 총 인구 성비를 뺀 값은 놀랍게도 일관된 패턴을 보여줍니다. 그 값이 클수록 촌락의 경향이 짙으며, 그 값이 작을수록 도시의 경향이 짙게 나타납니다.

- 저는 "청장년층 인구 성비 - 총 인구 성비"의 이름을 촌락지수로 지으려고 했으나, 이미 훌륭한 분들께서 촌락성 지수(index of rurality)를 만드신 관계로 이름을 짓지 못했습니다. 좋은 이름이 있다면 추천해주세요..!

많은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수정이 필요한 사항이 있다면 말씀해주세요.

감사합니다.

<미리보기>

출처 : https://cafe.naver.com/suhui/27516520

#위례에듀

https://cafe.naver.com/we2you/ 

 

위례에듀, 위례지역 중고교 입결, 대... : 네이버 카페

위례, 송파, 성남, 하남지역 초 중 고 및 고입/대입 교육정보 및 진학정보 소통을 위한카페, 학부모소통방

cafe.naver.com

#위례교육카페, #위례에듀카페, #특모고, #위례고, #위례한빛고, #효성고, #보인고, #위례한빛중, #위례중앙중, #위례중, #송례중, #위례솔중, #고교학점제, #일반고와자사고,#위례입시카페, #위례입시정보, #위례학원정보, #위례교육정보, #위례공부카페

#위례에듀카페#서울송례초등학교, #서울위례별초등학교, #서울위례솔초등학교, #위례초등학교, #위례숲초등학교, #위례고운초등학교, #위례중앙초등학교, #위례푸른초등학교, #위례한빛초등학교, #송례중하교, #위례솔중학교, #위례중학교, #위례한빛중학교, #위례중앙중학교, #덕수고등학교, #위례고등하교, #위례한빛고등학교, #효성고등학교, #보인고등학교, #문현고등학교, #문정고등학교, #기출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