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례에듀

평균백분위와 누적백분위의 개념차이는?

글로리컨설팅 2023. 7. 5. 09:40
반응형
정시를 준비하고 있는 고3 학부모인데요. 정시에서 누적 백분위라는 것을 쓴다고 해서 수능 성적표에 나오는 백분위를 쓰는 거려니 했는데, 아니라네요. 정시에서 쓴다는 누적 백분위란 무엇인가요? 수능 성적표에 나오는 백분위와는 어떻게 다른가요?
_ 임정현(51·서울 강서구 마곡동)
 
 
누적 백분위는 전체 수험생 중 자신의 위치를 보여주는 지표지만,
추정치라서 정확하지는 않습니다.
 
“자신의 위치를 가늠하라”고 하지만, 수능에서 ‘몇 개 틀렸다’ 혹은 무슨 과목에서 ‘몇 등급이다’로는 자신의 위치를 알 수 없습니다. 개별 과목의 표준점수와 백분위, 등급은 수능 성적표에 나오지만 전체 과목을 합친 등수나 성적은 추정해 짐작할 뿐입니다.
 
고1, 2 때 교육청에서 주관하는 학력평가 성적표에 ‘국+수+탐 백분위 98.87’이라고 나왔다면 자신보다 낮은 점수가 98.87% 있다는 뜻입니다. 이 학생은 상위 1.13%, 즉 누적 백분위 1.13에 해당하는 위치에 있습니다. 사설 입시 기관과 전문가들은 통계적으로 누적 백분위를 추정한 자료를 수능 후 내놓으며, 수험생은 이 자료를 참고해 정시 지원을 알아보게 됩니다.
 
종로학원하늘교육 장문성 학력개발원장은 “대학마다 수학과 국어, 탐구 반영 비율이 달라 어느 과목을 잘 봤느냐에 따라 대학마다 유불리가 생기고 누적 백분위가 달라진다. 따라서 대학에 따라 학생의 위치 또한 달라진다”고 말합니다.
 
평균 백분위는 수능 성적표에 나온 백분위를 평균 낸 것입니다. 국어와 수학, 탐구 두 과목의 백분위를 평균 낸 것이죠. 대입 정보 포털 어디가(www.adiga.kr) 등에서 입시 결과를 백분위로 공개하는 경우는 이 평균 백분위를 기준으로 합니다.
 
 
more tip
 
누적 백분위는 추정치이기 때문에 정확하진 않습니다. 수시에서 합격해 정시에 지원하지 않을 학생도 누적 백분위 안에 포함되어 있고요, 올해부터 문·이과 통합 수능이 시행되면서 인문 계열과 자연 계열을 나눠 누적 백분위를 추정하는데 여기서 조금 더 오차가 많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평균백분위는 수능성적 백분위를 평균낸것


누적백분위는 전국1등부터 꼴등까지 줄세운다음 백분위로 나타낸것

 

적용 예시

내신 국영수과 각각 2등 3등 4등 5등 했으면 평균내서 3.5등이라는 게 평백의 개념이고
내신 국영수과 점수 다 합쳐서 낸 총점의 등수가 3등이면 이 3등이라는 게 누백의 개념임

 

다시 자세히 설명하면,

1. 상위누적백분위에 대한 개념 및 이해

 

 

예를 들어 자연계 학생인 위례에듀는 A학교에서 이과학생중 30등을 하였다고 가정합시다. A학교의 문과학생은 180명, 이과학생은
120명이라고 하면

 

위례에듀는 A학교에서 30/120=25% , 즉 상위 25%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시 서술하면 자연계 학생인 위례에듀는 자연계 정원이 120명인 A학교에서 상위누적백분위가 25%임을 의미합니다.

 

 

 

2. 인문계/자연계 상위누적백분위에 대한 이해

 

 

 

인문계열은 보통 사회탐구선택자를 의미하고 자연계열은 보통 과학탐구선택자를 의미합니다. 중상위권 자연계 대학은 대부분 수학B형을
필수로 지정하였기 때문에, 수학B형선택자로 한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시 A학교 상황으로 돌아가면 이과학생이 120명인데 그 중 수학B형 선택자는 90명이라고 가정합시다. (과학탐구 선택자는
120명)

 

 

 

그렇다면 위례에듀는 수학B형 기준으로 상위 33%, 과학탐구 선택자 기준으로는 상위 25%입니다.

 

 

 

그렇다면 위례에듀는 상위 25%일까요 ? 상위 33%일까요?

 

 

 

질문이 틀린것 같습니다.

 

 

 

자연계 30등이라는것은 수학A형과 B형을 구분하지 않고 '국어+수학+영어+과학'에 대한 '총점' 을 기준으로
산정한 지표입니다.

 

관례적으로 상위권에는 수학A형+과학탐구와 같은 조합은 거의 없다고 보아도 무방하기 때문에

 

A학교에서 수학B형기준으로 33%와 과학탐구기준으로 상위 25%는 동일한 위치(등수)를 지칭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자연계 상위권입시에서는 수학B형기준으로 누적백분위를 추정한것과 과학탐구기준으로 누적백분위를 추정한것은 동일한 위치(등수)를
지칭하기 때문에 표기의 차이일뿐 어떤게 맞고 어떤게 틀리냐는 무의미한 질문입니다.

 

 

 

대략적으로 사회탐구는 34만명, 수학B형은 15만명 과학탐구는 23만명정도 응시하는데 최근 5년간 연도별 응시인원은 아래와
같습니다.

 

 

 

사탐
2015 사탐0.3%=998.6등(사탐 332,880)
2014 사탐0.3%=1011등(사탐 337,134)
2013
사탐0.3%=1104등(사탐 341,931)
2012 사탐0.3%=1105등 (사탐 368,438)
2011
사탐0.3%=1163.6등 (사탐 387,887)
수B
2015 수B 1%=1543등(수B 154,297)
2014 수B
1%=1601등(수B 160,174)
2013 수B 1%=1457등(수B 145,693)
2012 수B 1%=1549등(수B
154,482)
2011 수B 1%=1451등(수B 145,124)

 

과탐
2015 1500등=과탐 0.65%(과탐 230,377)
2014 1500등=과탐 0.63%(과탐
235,946)
2013 1500등=과탐 0.62%(과탐 241,790)
2012 1500등=과탐 0.63%(과탐
237,589)
2011 1500등=과탐 0.66%(과탐 227,264)

 

 

 

 

 

3. 상위누적백분위는 구체적으로 어떻게 보는가, 오르비와 이투스는 왜 누적은 왜다른가?

 

 

 

상위누적백분위는 크게 (1) 이투스청솔의 상위누적백분위 (이하 청솔누적), (2) 오르비의 Kaleidoscope (오르비 칼레) 가
있습니다.

 

매년 정시철 두회사만 공개적으로 상위누적백분위표를 공개하며, 아직까지 공교육에서의 대학별누적백분위 추정 혹은 타회사가 공개적으로
추정하는경우는 없었습니다.

 

 

 

먼저 설명하면 이투스/오르비가 동일한 점수에 대해 위치에서 조금 차이가 있는이유는 통계적 모델이나 표본수집방법 처리방법이 조금씩 다르기
때문입니다. 표본을 바탕으로 모집단을 추정하는 일이기 때문에 통계적 추정의 의의를 생각해보면 어떤것이 틀렸다 / 맞다
라고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모든 수험생에대한 Raw data를 공개한다면 반영방식/반영비율에 따른 좀 더 정확한 위치 파악이 가능하나 이는
대학서열화를 조장한다는 정부의 판단으로 전혀 공개되지 않고있습니다.

 

 

 

 

 

아래 상위누적백분위점수는 '수시이탈' 은 전혀 반영되지 않았습니다.

 

 

 

(1) 이투스청솔의 누적백분위 부터 설명하면

 

 

 

인문계열 : 사회탐구 응시자를 기준으로 상위누적을 표기합니다.

 

자연계열 : 과학탐구 응시자를 기준으로 상위누적을 표기합니다.

 

※둘 다 어감 그 자체로 직관적으로 느껴지는 대로 해석하면 됩니다.  

'펑크' : 비정상적으로 낮은 지점에서 합격선이 형성되는 경우를 지칭하는 입시판 은어 입니다.  

'폭발' : 비정상적으로 높게 합격선이 형성되어 수많은 탈락자들이 발생하게 되는 경우를 지칭하는 입시판 은어 입니다. 

'(누백이) 짜다' : 실제 값 내지, 실제 그러리라고 여겨지는 값에 비해서 점수대비 누적 백분위를 낮게 부르는 경우 (Ex, 상위 2% 점수를 두고 상위 3%라 부르는 경우)

'(누백이) 후하다' :실제 값 내지, 실제 그러리라고 여겨지는 값에 비해서 점수대비 누적 백분위를 높게 부르는 경우 (Ex, 상위 3% 점수를 두고 상위 2%라 부르는 경우)

 

 

 

아래 사례는 건국대 3년 입결을 이용해서 분석한 내용입니다.

건축학부는 22년 평균백분위 87.5  기계항공은 87입니다. 그런데 대학환산점수는 기계항공이 더 높습니다.

건축학부 23년 평균백분위는 86.67 그런데 같은 86.67인 산림조경의 대학환산점수는 대학 발표로 699.47  건축은 702.12  같은 백분위 다른 환산점수입니다.

 

 

https://cafe.naver.com/we2you/ 

 

위례에듀, 위례지역 중고교 입결, 대... : 네이버 카페

위례, 송파, 성남, 하남지역 초 중 고 및 고입/대입 교육정보 및 진학정보 소통을 위한카페, 학부모소통방

cafe.naver.com